-
*[백준][8980] 택배Algorithm/백준 2021. 5. 1. 16:29
8980번: 택배
입력의 첫 줄은 마을 수 N과 트럭의 용량 C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은 2이상 2,000이하 정수이고, C는 1이상 10,000이하 정수이다. 다음 줄에, 보내는 박스 정보의 개수 M이 주어진다. M은 1이
www.acmicpc.net
문제
아래 그림과 같이 직선 도로상에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1번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붙여진 마을들이 있다. 마을에 있는 물건을 배송하기 위한 트럭 한 대가 있고, 트럭이 있는 본부는 1번 마을 왼쪽에 있다. 이 트럭은 본부에서 출발하여 1번 마을부터 마지막 마을까지 오른쪽으로 가면서 마을에 있는 물건을 배송한다.
각 마을은 배송할 물건들을 박스에 넣어 보내며, 본부에서는 박스를 보내는 마을번호, 박스를 받는 마을번호와 보낼 박스의 개수를 알고 있다. 박스들은 모두 크기가 같다. 트럭에 최대로 실을 수 있는 박스의 개수, 즉 트럭의 용량이 있다. 이 트럭 한대를 이용하여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서 최대한 많은 박스들을 배송하려고 한다.
- 조건 1: 박스를 트럭에 실으면, 이 박스는 받는 마을에서만 내린다.
- 조건 2: 트럭은 지나온 마을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 조건 3: 박스들 중 일부만 배송할 수도 있다.
마을의 개수, 트럭의 용량, 박스 정보(보내는 마을 번호, 받는 마을번호, 박스 개수)가 주어질 때, 트럭 한 대로 배송할 수 있는 최대 박스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받는 마을번호는 보내는 마을번호보다 항상 크다.
예를 들어, 트럭 용량이 40이고 보내는 박스들이 다음 표와 같다고 하자.
보내는 마을받는 마을박스 개수
1 2 10 1 3 20 1 4 30 2 3 10 2 4 20 3 4 20 이들 박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배송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자.
(1) 1번 마을에 도착하면
다음과 같이 박스들을 트럭에 싣는다. (1번 마을에서 4번 마을로 보내는 박스는 30개 중 10개를 싣는다.)
보내는 마을받는 마을박스 개수
1 2 10 1 3 20 1 4 10 (2) 2번 마을에 도착하면
트럭에 실려진 박스들 중 받는 마을번호가 2인 박스 10개를 내려 배송한다. (이때 트럭에 남아있는 박스는 30개가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박스들을 싣는다. (이때 트럭에 실려 있는 박스는 40개가 된다.)
보내는 마을받는 마을박스 개수
2 3 10 (3) 3번 마을에 도착하면
트럭에 실려진 박스들 중 받는 마을번호가 3인 박스 30개를 내려 배송한다. (이때 트럭에 남아있는 박스는 10개가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박스들을 싣는다. (이때 트럭에 실려 있는 박스는 30개가 된다.)
보내는 마을받는 마을박스 개수
3 4 20 (4) 4번 마을에 도착하면
받는 마을번호가 4인 박스 30개를 내려 배송한다
위와 같이 배송하면 배송한 전체 박스는 70개이다. 이는 배송할 수 있는 최대 박스 개수이다.
입력
입력의 첫 줄은 마을 수 N과 트럭의 용량 C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은 2이상 2,000이하 정수이고, C는 1이상 10,000이하 정수이다. 다음 줄에, 보내는 박스 정보의 개수 M이 주어진다. M은 1이상 10,000이하 정수이다. 다음 M개의 각 줄에 박스를 보내는 마을번호, 박스를 받는 마을번호, 보내는 박스 개수(1이상 10,000이하 정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박스를 받는 마을번호는 보내는 마을번호보다 크다.
출력
트럭 한 대로 배송할 수 있는 최대 박스 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해결방법
1. 배송정보를 도착지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진행한다.
2. status배열에 각 택배차의 최대 무게로 초기화를 진행한다.
3. 각 배송정보의 시작점부터 도착전까지의 사이에서 status의 배열의 최솟 값을 찾는다. 그 사이의 최솟값만큼만 현재 택배차량에 싣을수 있기 때문이다. (목적지 도착 이전에는 택배를 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4. status배열의 최솟값을 모두 빼준다. 이동하는 거리동안은 택배가 무게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소스코드
더보기#include <stdio.h>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struct info{ int start; int end; int w; }typedef info; bool cmp(info& a, info& b) { if (a.end == b.end) { return a.start < b.start; } return a.end < b.end; } int main() { int N, C, M; int status[2001] = { 0, }; vector<info> infoList; scanf("%d %d", &N, &C); scanf("%d", &M); for (int i = 0; i < M; i++) { int a, b, c; scanf("%d %d %d", &a, &b, &c); info tmp = { a,b,c }; infoList.push_back(tmp); } for (int i = 1; i < N; i++) { status[i] = C; } sort(infoList.begin(), infoList.end(), cmp); int answer = 0; for (int i = 0; i < M; i++) { info curInfo = infoList[i]; int min = 987654321; for (int j = curInfo.start; j < curInfo.end; j++) { if (min > status[j]) min = status[j]; } int count = curInfo.w; if (min < count) count = min; for (int j = curInfo.start; j < curInfo.end; j++) { status[j] -= count; } answer += count; } printf("%d\n", answer); }
결과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092] 배 (0) 2021.05.03 *[백준][13904] 과제 (0) 2021.05.02 *[백준][9576] 책 나눠주기 (0) 2021.04.28 *[백준][2212] 센서 (0) 2021.04.27 *[백준][11497] 통나무 건너뛰기 (0) 2021.04.27